카테고리 없음

창조성과 도시발전에 관한 연구

♥︎♡ 2021. 1. 3. 01:09

창조계급, 창조성, 도시발전 관련 연구들

창조적 인재는 도시의 창조성에 기여하는 가장 핵심적인 계층으로 전제(가정)하면서 이를 창조계급이 창조도시를 이루어낸다는 연구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시도되고 있다창조계급에 의한 논의는 도시의 창조성에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즉, 도시의 창조성을 발현시키고 발전시키는 것이 곧 '사람'이라는 관점에서 도시의 창조성에 대한 논의를 인력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리처드 플로리다(Richard Florida, 2002, 2005, 2006)는 도시의 창조성에 창조적 인재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는 창조계급을 창조성을 중요한 업무 요소로 활용하고 있는 직업을 가진 집단으로 간주한다. 도시내 산업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등의 지식기반 산업으로 발전함에 따라 창조계급이 부상하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도시경제의 발전이 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관대하고 다양하며 창조성을 수용할 수 있는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음을 밝혔다. 창조계급은 다양성, 창조성 있는 도시로 옮겨가는 성향이 있어서 창조적 인재가 도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인적자본을 창조계급으로 보는 이론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글레저(Glaeser, 2004)는 플로리다(Florida)의 저서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Florida, 2002)'를 창조계급이 인간자본 이론과의 연계성 내지는 상관성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비평을 한다. 그는 플로리다(Florida)의 '창조계급' 이론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미흡하다고 지적하고, 보다 구체적, 다면적, 시계열 자료에 바탕을 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플로리다(Florida)는 자신의 창조계급 이론이 인간자본 이론을 대신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주장한다. 그는 기존의 교육중심의 인간자본에서 다루지 못하는 창조계급의 지역성장 기여도를 분석할 수 있는 연구의 틀을 제시하면서 그에 대한 비판과 맞서고 있다.

 

산업과 창조성 관련 연구들

지역의 창조성을 산업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연구는 지역의 창조성이 창조적 산업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 창조성과 창조산업이 도시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그리고 새로운 산업구조속에서 창조계급이 도시경쟁력에 미치는 효과가 커지고 있다는 연구가 이따르고 있다.

  • 핸드 슨(Handason, 1988)은 소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창조계급이 도시 경제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도시의 서비스 산업과 고용성장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 말레, 호킨스(Marlet, Van Woerkens, 2007)의 분석 결과에서는 창조계급과 생산성의 향상, 창업 간에는 상호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계급이 집적된 도시에서 기술의 혁신을 거쳐 생산성이 향상되었으며 창업하는 기업의 숫자도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리 등(Lee, et. al., 2004)은 기업가 정신을 창조적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창조성과 다양성이 높은 사회적 분위기를 가진 개방적인 도시에서는 도시의 혁신과 정보교류가 활발히 일어나게 되어 새로운 산업의 입지가 형성된 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 제이콥스(Jacobs, 1961, 1969)와 플로리다, 게이츠(Florida, Gates, 2001)의 연구에서는 도시의 창조성을 산업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복합적으로 살펴보고 이것이 도시경쟁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제이콥스는 도시 경제성장에 다양한 인구 계층의 존재가 긍정적 기여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 플로리다, 게이츠(Florida, Gates, 2001)는 인구계층의 존재가 첨단산업 성 | 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를 내놓았다.

 

관용성, 개방성, 다양성, 창조성 지표와 창조도시 간의 관계 연구들

도시의 창조성 관련 연구를 보면 도시의 창조성이 표출되는 데에는 개방적이고 관용적인 도시문화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있다.

 

앤더슨(Andersson, 1985)은 관용성이 도시의 창조성을 자극하여 도시경제가 발전하고 있다는 연구주제를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아테네, 로마, 플로레스의 역사를 돌이켜보면서 지식과 문화,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창조성 이 도시의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잉글하트 등(Inglehart, et. al., 2003, 2005)은 자아표현 지향적 가치와 60개국 GDP 성장 수준 간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그는 예술가, 게이 집단의 개방성 (Open-mind) 및 자아표현이 발전 지향적 가치로 발현되어 도시자원의 생산성을 높인다고 하였다. 즉, 도시의 다양성이 도시발전의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도시경쟁력, 창조성, 창조계급, 지역성장 관련 변수 지표

창조성관련 평가지표

1) 창조성 평가지표 관련 연구

도시의 창조성 측정 관련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제이콥스(Jacobs, 1961), 루카오(Lucao, 1988), 퀴글리(Quigley, 1998), 말렌 더(Mellander, 2007), 플로리다(Florida, 2007)의 연구에 의하면 도시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사회 전반의 교류가 활성화된다고 밝힌다. 이로 인한 인간자본의 외부효과가 더욱 활발 히 일어나 새로운 지식이나 아이디어의 창출이 증가하고 도시의 창조성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즉, 창조성의 발현에 사회적인 요소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성과 개방성이 높은 지역에서 창조성의 발현이 쉽다는 것이다. 다양성, 관용성, 개방성이 교육과 기술의 지리적 분포와 흐름에 영향을 준다고 하며 사회적인 요소들이 도시의 창조성 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다른 연구들에서도 관용적인 사회분위기에 따른 도시의 창조성 발현으로 인해 도시경쟁력이 제고될 수 있다고 하였다.

 

2) 도시경쟁력 평가지표 관련 연구

도시경쟁력 평가지표 관련 연구의 대부분이 사회경제적 지표를 활용하고 있다. 도시 경쟁력의 순위를 발표한 중국 사회과학원 '2007, 2008년 세계도시 경쟁 려 보고'의 경우에도 GDP, 일인당 국민소득, 지역 평균 GDP, 노동생산성, 다국 적 기업수, 특허 신청 수, 물가, 경제성장률, 취업률 등 9개의 경제적 지표를 중 심으로 경쟁력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대부분 일정기간 동안의 도시의 성장에 국한하여 인구나 고용 성장률, 임금과 소득 등의 경제적인 지표를 사용하고 있다(말레, 호킨스, Marlet, Van Woerkens, 2007).

 

도시혁신지수 평가지표

EU의 유럽 이노베이션 평가서에서는 혁신 관련 평가지표를 크게 인적자원, 시식 창출, 지식의 전달 및 응용, 혁신 지원 금융·산출 시장 등 4그룹으로 나누고 다음 〈표 4-1>과 같이 각 그룹별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평가지표는 그간 약간의 변동을 거쳤는데 2004년 2005년 평가서의 지표체계는 다음 <표 4-1>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