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브랜드를 활용하자.
도시의 브랜드인 로고를 활용하여 도시마케팅을 해야 한다. 예컨대 서울시는 시가 관리하는 각종 공공시설과 사업, 국내외 홍보물 등에 유네스코 로고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서울의 브랜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공신력 있는 유네스코의 로고가 서울시 해외마케팅 홍보물에 일제히 부착되면 잠재적인 해외 관광객들에게 “믿을 수 있다”는 인상을 전달하고 가지와 신뢰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 유네스고 도시 선정을 계기로 우리나라 다른 도시들도 브랜드화에 나서야 한다.
도시디자인에 기여하자.
창조도시는 세계적인 도시의 면모를 돋보일 수 있는 도시경관을 다져야 한다. 창조도시만이 가지고 있는 개성적인 면을 돋보이게 하여야 하며 창조도시 가 가진 이야깃거리를 꺼내어 새롭게 엮을 수 있어야만 한다. 창조도시가 되려 면 간판을 보다 예술적이고 아름답게 만들어 마치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느낌을 주도록 하여야 한다.
장소와 마케팅이 만나게 하자.
도시 고유의 스타일을 가진 장소를 만들어야 한다. 5000년 한국 역사가 집약된 한국의 이야기가 깃들어 있는 장소를 말한다. 이는 문화콘텐츠가 살아 숨 쉬는 장소이다.
건물 디자인을 통한 마케팅
런던의 '스위스르’ 빌딩은 마치 달걀을 세워둔 것 같은 특이한 빌딩으로 런던의 명소가 되고 있다. 프라하의 '댄싱'빌딩은 남녀가 춤추는 모습을 형상화하였으며, 서울의 '신세계 백화점 본관 옥상에는 헨리 무어 등의 예술가의 작품을 전시하는 ‘트리니티 가든'이라 불리는 조각공원이 있다.
장소 주변 문화시설들을 연계하여 뉴욕의 브로드웨이는 세계 문화예술 향유의 마당으로 불려진다. 방문객들은 장소 주변에서 문화시설과 각종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즉, 한곳에서 원스톱으로 저렴하게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즐기는 것을 선호한다.
지속가능한 도시로 남기 위해서는?
현재 생산하는 도시의 상품가치로부터 앞서 나가는 '가치의 진화'는 중요하 다. '문화·예술 자본'의 지속적 활용 여부가 지속 가능한 도시로의 필요조건인 것이다. 이는 도시의 감성 마케팅을 통해 소통하여야 하며, 도시의 진정한 '문화· 예술 자본'이 도시 이미지에서 체화(化) 되도록 하여야 한다. 순간의 예술적 자극은 피하되 이는 단순한 '기호 작용'일뿐, '문화·예술 자본'은 잠시 빌려온 것 이 되어서는 안 된다.
도시 마케터(Marketer)를 보강하고 활용하자.
전문 마케팅 조직 및 인력의 보강이 필요하며 외부 전문가 및 전문업체를 활 용하여야 한다. 도시 마케터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는 1. 고객관계 마케팅 (CRM:Customer Relationship Marketing), 2. 홍보마케팅, 3. 브랜드 구축, 4. 커뮤니케이션, 5. 정보통신기술 마케팅, 6.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7. 세분화된 시장이 필요하다.
생각해보자
1. 창조도시 목표는 무엇이고 대안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이야기해보자.
2. 창조도시 계획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설명해보자.
3. 창조도시계획 과정에서 복표와 수단은 어떻게 연계되어야 하는지 생각해보자.
4. 창조도시계획 관련 이해집단을 파악함으로써 창조도시계획의 추진체가 얻을 수 있는 이 점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5. 우리나라 도시에서 창조도시가 되기 위한 추진체는 어떤 집단이 있는지 생각해보자
6. 창조도시계획의 전략과 실행의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7. 창조도시를 만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추진전략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8. 창의도시를 위한 행동지침 8단계를 읽고 이에 따라서 자신이 살고 있는 도시가 창조도시로 변모하기 위한 행동 지침을 만들어보자.
9. 도시를 문화, 이미지, 이벤트 등을 통한 정체성을 확립한 도시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 도시를 예를 들어서 이야기해보자.
10. 브랜드, 아이콘은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해보자.
11. 창조도시가 되기 위한 브랜드의 가치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12. 자신이 살고 있는 도시는 어떠한 자원을 활용하여 브랜드 가치를 창조하고 있는지 이야기해보자.
13. 브랜드와 장소성을 어떻게 연관시킬 수 있을지 생각해보자.
14. 함평의 나비축제는 창조도시가 되기 위한 충분한 요소인지 생각해보자.
15. 프랑스 파리의 Tour de la chapelle와 스페인의 카사 밀라는 어떤 방식의 도시브랜드로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았는지 이야기해보자.
16. 도시의 브랜드를 정립(Brand Building)하려면 어떠한 과정이 필요한지 생각해보자
17. 도시마케팅 요소를 어떻게 활용하면 창조성이 발현될 수 있을지 생각해보자.
18. 도시의 브랜드인 로고를 활용하여 도시마케팅을 한 사례를 이야기해보자.
19. 지속가능성 계획 철학을 지키면서 창조도시에 필요한 창소 요소에 대하여 이야기해보자.